성락원에서
성락원은 조선 철종때 이조판서를 지낸 심상응의 별장이었으나
의친왕 이강(李堈)(1877~1955)이 35년간 살아 별궁(別宮)으로 사용되기도 하였던 곳으로
서울 도성 안에 남아 있는 몇 안되는 조선시대 민가조원으로서 가치가 높은 곳이다.
성락원의 공간구성은 계류(溪流)의 경관요소(景觀要素)에 따라
성격이 뚜렷한 세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연지형에 따라 조원(造苑)된 각 공간은 쌍류동천(雙流洞天)과
용두가산(龍頭假山)이 있는 전원(前苑)공간과
영벽지(影碧池)와 폭포가 있는 내원(內苑)공간,
송석(松石)과 못(지(池))이 있는 후원(後苑)공간 구역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전원(前苑)은 두 골짜기에서 흘러내린 계류가 하나로 합류되는 쌍류동천(雙流洞天)지역으로
성락원의 산문(山門) 같은 입구가 된다.
이 공간에는 계류속 암벽(岩壁)에 행서체(行書體)로 음각(陰刻)된
쌍류동천(雙流洞天)(두줄기 계류가 흐르는 경치 좋은 곳)과
성락원의 지맥을 비보(裨補)하는 뜻도 있지만 영벽지(影碧池)의 내원(內苑)앞을 막아
아늑하게 감싸서 유현하게 만든 용두가산(龍頭假山)이 있다.
쌍류동천 주위와 용두가산에는 수령(樹齡)이 2-3백년 되는 엄나무를 비롯하여
느티나무, 소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다래나무, 말채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어 성락원 내원(內苑)과 외부공간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본래 아래 서쪽 암반의 계류에 고요한 소(沼)가 있는데
물이 흘러오는 북쪽 암반의 층단에 수로를 파고 물길을 모아 인공폭포를 만들었으며,
소(沼)의 서쪽 암벽에는 '장빙가(檣氷家)'라 새긴 추사 김정희 선생의 명필이 있는 등
이곳 성락원은 자연과 인공이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아름다움을 한껏 더해주고 있다.